코딩 언어가 인공적인 언어라면,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자연어’라고 합니다. 인공언어는 의미가 명확하고 규칙적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사람의 자연어는 같은 단어나 문장도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죠.

투블럭에이아이는 자연어가 만들어낸 텍스트에서 기계가 의미를 찾아내고 다시 자연어로 표현하는 ‘자연어 처리(NLP)’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연어 처리 기술은 기계가 인간을 분석해서 결국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돕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투블럭에이아이 CI의 노랑 블럭은 ‘계획하고 분석하는 AI ‘, 보라색 블럭은 ‘알아차리고 생성하는 AI’를 의미합니다.

기술을 기반으로 풍요로워지는 세상, 투블럭에이아이가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TECHNOLOGIES

투블럭에이아이는 Moran 형태소 분석기와 HanBERT, HanBART, HanGPT 등 한국어 중심의 심층 언어 모델을 자체 개발하며 AI기술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기업입니다. 한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AI 기술을 오랜동안 연구하며 시장에 제공해왔습니다.

HanBERT
Moran 형태소 분석기
감성 인식
독서 지수 측정
HanBART
기계독해 (MRC)
자동 글 생성
다중 문서 요약
Han GPT
개체명인식 (NER)
자동 문제 생성

HISTORY

HISTORY

2023

09/ 제19회 에듀테크 우수기업 콘테스트, 콘텐츠·서비스분야 우수상 (KEEwi-T)
08/ 혁신형 중소기업, 이노비즈 (INNOBIZ) 인증
07/ 키위 온라인 AI 글쓰기 대회 개최 (매달)
06/ 학생을 위한 글쓰기 AI 자동평가 서비스 키위 (KEEwi) 공개
05/ 인천시교육청 우수 에듀테크 서비스 인증 & MOU
04/ 문해력 챗봇 '키위챗' 출시
03/ 생활밀착형 비대면 선도서비스 활성화 사업 선정 (키위티)
02/ 챗GPT 활용 기술 특허 2종 등록
01/ 선생님을 위한 글쓰기 AI 자동평가 서비스 키위티 (KEEwi-T) 출시

2022

12/ (주) 대교 솔루니 독서토론논술 - 글쓰기 AI 평가 (KEEwi 적용) 출시
12/ MS 교육 파트너 디모아와 업무 협약
11/ 중앙대 인문콘텐츠 연구소와 업무 협약
09/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 글쓰기 AI 자동평가 키위 (KEEwi) 소개
05/ 쓰기교육 올인원 플랫폼 코알라 출시
03/ AI추천 기반 채팅 마켓 인맥스 출시

2021

12/ (주)대교 전략적 투자 유치
10/ 다중문서 정보 추출 솔루션, WideXtract 출시
09/ 벤처 기업 인증 (혁신 성장형)
08/ 첨부문서 요약 시스템 개발
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3회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자연어처리 분야, 우수기업
04/ 교육 분야, AI-OCR 을 위한 AI 바우처 공급사 선정 (우수)
01/ HanBERT 기반 (주)대교 독서지수 측정 (KReaD) 모델 개발

2020

12/ 기업 부설 연구소 설립
12/ 챗봇 중계 AI 챗팅 App CouCou 출시
09/ 법률 분야, 보안 분야 자체 AI솔루션 공급
08/ AI바우처 공급 기업 선정 (우수)
07/ 스캔문서 정보 추출 시스템, AI사업화 지원 선정
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2회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종합 1위
04/ 텍스트 분석형 AI, HanBERT 공개
02/ 리노스와 AI 연구 협력 MOU 채결

2019

12/ HanBERT 54k/90k, HanGPT-2 개발
09/ 심층언어 모델 개발, 대화형 AI 사업화 지원 선정
0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1회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기계독해 분야 1위’
06/ 주식회사 투블럭에이아이 설립

AWARDS

인공지능 경진 대회, 3년 연속 ‘우수’

Deep NLP 기술 리더 투블럭AI 조영환 대표를 중심으로 3년 연속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CERTIFICATIONS

PEOPLE

조영환, CEO

KAIST 전산학 (NLP)  석사/박사

MyScript (프랑스), 인공지능연구원 연구실장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본부장

서치솔루션, 모란소프트 대표

최운천, CTO

KAIST 전산학 (NLP) 석사

ETRI , CMU 교환 연구원, 낱말 CTO

우리말 유의어, 어휘 관계 자료 구축

빅 텍스트 데이터, 코퍼스 정제

계주연, CSO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신세계, 머니투데이 기자, 동탄고등학교, 초당고등학교, 책나무 실장

장준필, 개발 팀장

KAIST 전산학 학사

Front-End, App, Cloud

엄지우, R&D 팀장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 학사

평가 모델, Back-End, Cloud, GPTs

안동언, 기술 자문

KAIST 전산학 (NLP) 석사/박사

전북대학교 교수

최서희, 콘텐츠 팀장

서강대 국어교육과 석사 수료

서비스/콘텐츠/사업 기획 운영

김보라, 콘텐츠

서강대 국어교육과 석사 수료

글평가 모델 기획

신채은, 콘텐츠

서울대 국어교육과 석사 수료

글평가 모델 기획

김진형, 고문

인공지능 학계, 연구자 인맥

Ai 트렌드 자문

(전) KAIST 전산학과, 원로교수

(전) 인공지능연구원장, SW정책 연구소장

김경성, 고문

국내/해외 교육계 인맥

교육 사업 분야 자문

(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전) 서울교육대학 총장

(전) UCLA CRESST 센터장

 이공주, 기술 자문

자연어처리 기술

평가 모델 분야 자문

KAIST 전산학 (NLP) 석사/박사

(현) 충남대학교 교수

CONTACT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350길 54 V타워, 1층 (06743)

전화번호 : 02-6677-1111,  고객 센터 : 02-6677-0300 (키위티), 02-6677-0400 (키위), 02-6677-0222 (기술)